평가항목 2. 부서업무 계획의 타당성

부서업무 계획의 타당성 (20점)

가. 기본 원칙

  • 부서의 업무나 사업(프로그램)의 계획이 적절한지를 판단합니다.
  • 계획이 성과지표나 부서의 실적 관리를 위한 적절한 정책, 사업, 업무,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합니다.

나. 유의사항

  • 개선계획의 적극성 (8점)
    • 전년도 총평의 개선방안의 내용을 참고하여 평가합니다.
    • 계획에 전년도 개선방안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계획을 별도로 분석하였다면 개선계획의 적극성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합니다.
  • 계획의 구체성과 적정성 (12점):
    • P-D-C-A 절차가 운영계획서 내에 명확히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    • 담당자별 운영계획 프로그램 수는 1~2개로 통합 권고되었으므로, 하나의 프로그램에 여러 세부 계획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다. 배점 기준

②-1. 개선계획의 적극성 (8점)

배점평가기준
8전년도 총평 "향후 개선방안" 내용이 당해연도 운영계획서에 **모두 반영**되고 문제점 분석과 함께 구체적으로 개선 계획을 작성함.
7전년도 총평 "향후 개선방안" 내용이 당해연도 운영계획서에 **일부 반영**되고 문제점 분석과 함께 구체적으로 개선 계획을 작성함.
6전년도 총평 "향후 개선방안" 내용이 **일부 반영**되었고, 현안(문제점) 분석 없이 개선 계획이 수립된 경우.
5전년도 총평 "향후 개선방안" 내용이 **반영되지 않고** 당해연도 개선계획이 수립된 경우.
4전년도 총평 "향후 개선방안" 내용이 반영되지 않고 **당해연도 개선계획 내용도 없는 경우.**
신규 작성부서: 전년도 개선방안이 없으므로, 현안/문제점 분석 내용과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작성되었으면 배점에 따라 평가합니다. (부서명칭 변경은 해당 안됨)

②-2. 계획의 구체성과 적정성 (12점)

배점평가기준
12추진과제, 시기, 방법, 대상, 예산 등 계획이 **구체적**이고 제3자가 충분히 참조할 수 있으며, P-D-C-A 절차가 명확하고 정량적/정성적 기대성과가 내용에 부합함.
11계획이 **어느 정도 구체적**이고 제3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, P-D-C-A 절차가 명확하고 정량적/정성적 기대성과가 작성됨.
10계획을 **간략하게 기술**하였고, P-D-C-A 절차가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음.
9추진과제, 방법 등 **일부만 간략하게 명시**하고 추진시기가 불명확함.
8추진과제 등 **타이틀 정도만 간단하게 명시**함.
7계획은 기술했으나 내용의 **구체성이 낮고** 해당 부서 운영과 관련 없음.
6계획을 **기술하지 않았거나 매우 미비함.**